본문으로 바로가기메인메뉴 바로가기
S_visual.png

학교평가란?

학교평가란?

학교평가는 학교에서 수행되는 교육활동 전반을 학교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학교평가의 주체가 학교 구성원입니다. 학교평가는 학교 개선을 위해 자율적, 협동적, 통합적, 지속적으로 학교경영과 교육활동 전반을 점검하고 반성하고 교정해 나가는 실천적인 작업입니다.

학교평가 개요

시행주체

경기도교육청 및 각급 학교장

평가대상

도내 전체학교(초·중·고 및 특수학교)

평가주기

1년 (매년 실시)

평가내용

  • 경기혁신교육 내용
  • 교육과정 운영 및 교수·학습 방법
  • 교육활동 및 교육성과
  • 학교의 자율적 추진 중점과제 및 발전 노력

평가방법

  • 단위학교 평가 목표에 따른 100% 자체평가 실시
  • 정성·정량평가 병행 실시
  • 공통지표(경기도)와 자율지표(단위학교 자체 개발) 활용
  • 정량평가는 공개된 정보를 활용하여 학교 업무부담 경감

결과활용

  • 학교 공동체의 자발적 개선 노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학교평가 결과 자체 분석 ⇒ 차기년도 계획 및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실천 ⇒ 평가의 과정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
    • 구성원 간 평가 결과 공유 및 개선 노력(컨설팅 의뢰)
  • 학교 개선 지원 후속 컨설팅 지원
    • 평가 결과에 따른 분야별 후속 컨설팅 실시
    • 종합적·심층적 진단과 개선이 필요한 학교에는 전문 기관 연계 특별 컨설팅 지원
  • 우수학교 사례 발굴 및 혁신적 학교문화 확산
    • 학교자체평가 우수사례 발굴 및 일반화

학교평가 절차 흐름도

절차 흐름도 이미지

연간 로드맵

연간 로드맵
구분 추진내용 추진 시기(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자체평가 준비 계획 수립
평가지표 및 매뉴얼 개발·보급
지역교육청별 워크숍
평가위원 및 컨설팅위원 연수
학교평가 전문 인력풀 구성·운영
자체평가 시행 학교자체평가 시행
자체평가 결과활용 학교자체평가 현장 모니터링
후속 컨설팅 및 토론회
종합보고서 제작 및 배부
우수사례 발굴 및 일반화